소장품정보

되

  • 명칭
  • 국적/시대 한국 광복이후
  • 분류 생활용품/가전
  • 재질 나무

상세정보

<정의> 곡식이나 액체?가루 같은 물질의 분량을 가늠하기 위해 제정된 양제단위명(量制單位名), 또는 그런 일에 쓰는 기준용기. <발달과정/역사> 부피를 가늠하는 단위는 작(勺), 홉[合], 되[升], 말[斗], 석[石, 斛]으로 나뉘는데, 10작은 1홉, 10홉은 1되이다. 원래 성인 남자의 한 움큼의 양을 지칭하는 단위로, 한대(漢代)에 1되는 약 0.2ℓ 정도였으나 남북조대(南北朝代)를 거치며 1되의 양이 크게 늘어나 당대(唐代)는 한대 1되 양의 3배, 약 0.59ℓ정도로 변화하였다. 우리나라도 신라 문무왕 21년(681년)에 당나라제도에 따라 이와 같은 표준량제도를 수용한 것으로 추측되며, 이때부터 큰 변화 없이 조선 후기까지 지속되었다. 세종 28년에 정의된 되와 정조대 『전율통보(典律通補)』의 되는 약 0.6ℓ에 해당한다.

담당
문화시설사업소 평생학습담당 (☎ 055-960-6730)
최종수정일
2023.11.23 14:55:23
만족도 조사

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?

평가

의견